[ 극구광음(隙駒光陰) ] ( 틈 극 , 망아지 구 , 빛 광 , 그늘 음 )
- 의미
마치 달려가는 말을 문틈으로 보는 것과 같이 세월의 흐름이 빠름을 비유한 말입니다.
인생과 세월이 덧없고 짧음을 비유한 말로 .....
과극백구(過隙白駒), 백구과극(白駒過隙),극구광음(隙駒光陰), 극구(隙駒) 또는 극사(隙駟) 라고도 합니다.
- 유래
장자莊子의 [지북유(知北游)]에 다음과 같이 이야기가 있습니다.
공자가 노자에게 크고 넓은 지도에 대하여 묻자 , 노자는 이렇게 말을 시작합니다.
" 그대는 먼저 재계하고 마음을 씻어내며 , 그대의 지식을 깨뜨려야 합니다.
무릇 도라는 것은 깊고 멀어서 말로 표현하기 어려운 것입니다.
박식하다는 것이 반드시 참된 앎은 아니며 , 능변이라는 것이 반드시 참된 지혜는 아닙니다.
도를 터득한 성인은 그런것을 버립니다.
깊은 바다와 같이 , 높은 산과 같이 끝나는 데서 다시 시작되어 , 만물을 운행하며 다함이 없는 것은
군자의 길입니다.
만물이 모두 이것에 바탕을 두고 있지만 , 다함이 없으니, 이것이 바로 도라는 것입니다.
사람이 하늘과 땅 사이에서 살고 있는 것은 마치 흰말이 달려 지나가는 것을 문틈으로 얼핏 보는 것과 같은 순간일 뿐입니다.
모든 사물들은 물이 솟듯 문득 생겨나서 물이 흐르듯 아득하게 사라져 가는 것입니다.
변화하여 태어났다가 또한 변화하여 죽을 뿐인데 ,
살아있는 것들은 이를 슬퍼하고 , 사람들은 이를 비통해 합니다.
죽음이란 활통을 풀고 옷주머니를 풀듯 흩어지는 것이며,
혼백이 육신에서 빠져나가고 이에 몸이 따라가는 것이니, 이는 곧 위대한 자연으로의 복귀입니다.
사람이란 형체가 없이 흩어졌던 것들이 모인 것이고 , 죽음이란 모여 있던 것이 틎어지는 것이니..
이는 사람들이 모두 알고 있는 것이지만 도에 이르려는 자가 힘써 추구할바는 아닙니다.
도라는 것은 뚜렷이 보려하면 만날수 없고 , 말로 설명하기보다는 침묵을 해야 합니다.
도라는 것은 귀로 들을수 없으니 차라리 귀를 막고 터득함이 더 나은데,,,
이를 일러 크게 터득했하는 것입니다. "
'사기'의 '유후세가'에도 다음과 같으 이야기가 있습니다.
"인생의 한 세상은 마치 흰말이 달려가는 것을 문틈으로 보는 것처럼 순식간이다.
어찌 스스로 괴로워하는 것이 이와 같음에 이르겠는가"
고사성어(한자,사자성어) - 금란지교 , 금란부 의미(뜻)와 유래 (1) | 2018.05.22 |
---|---|
고사성어(한자,사자성어) - 금구무결 , 구화투신 ,곤궁이통 의미(뜻) (0) | 2018.05.02 |
고사성어(한자,사자성어) - 근묵자흑 , 근주자적 의미(뜻)와 유래 (0) | 2018.04.27 |
고사성어(한자,사자성어) - [극천하이굴신],[굴신제천하] 의미(뜻)와 유래 (0) | 2018.04.24 |
고사성어(한자,사자성어) - 극기복례 의미(뜻)와 유래 (0) | 2018.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