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거안제미 ( 擧案齊眉 ) ] ( 들 거 , 책상 안 , 가지런할 제 , 눈썹 미 )
- 의미
밥상을 눈썹과 가지런하도록 공손히 들어 남편 앞에 가지고 간다는 말로....
남편을 깍듯이 공경함으로써 내외가 서로 신뢰를 쌓고 가정을 화목하게 함을 이르는 교훈의 말입니다..
- 유래
중국 후한 때 양홍이라는 사람이 있었습니다. 그는 가난했지만 열심히 공부하여 학문에 깊이가 있었습니다.
한편 맹광은 피부가 검고 뚱뚱한 여인이었습니다.
그녀는 나이 서른이 넘는 처지에서도 "향홍 같은 훌륭한 분이 아니면 절대로 시집을 가지 않겠다"버티고 있었습니다.
이에 그녀의 부모가 할수 없이 향홍에게 청혼을 했는데 ,
그러자 향홍은 그 처녀의 뜻이 기특해 그처녀에게 청혼을 하였고. 곧 결혼을 하였습니다.
그들이 결혼하는 날 맹광은 예복을 곱게 차려 입었는데 , 양홍은 그것을 못마땅하게 여겨 일주일이 지나도록 거들떠보지 않았습니다.
색시가 궁금하여 그 까닭을 물었는데 이에 양홍이 대답하기를 ,
"내가 원했던 부인은 비단옷을 걸치고 짙은 화장을 하는 여자가 아니라 누더기 옷을 부끄러워하지 않고 깊은 산속에서라도
살수 있는 여자 였소"라고 하자 색시는 " 이제 당신의 마음을 알았으니 당신의 뜻에 따르겠습니다"라고 하였습니다.
그 후부터 아내가 화장도 않고 산골 농부 차림으로 생활하다가 남편의 뜻에 따라 산속으로 들어가 농사를 짓고 베를 짜면서 살았습니다.
그들은 서로 돕고 아까며 살았는데 , 향홍이 일을 마치고 돌아오면 맹광은 밥상을 자기 눈썹 높이까지 올려 남편에게 바쳤습니다.
이에 훗날 사람들은 남편을 깍듯이 공경하는 것을 가르켜 거안제미라하였습니다.
남편의 인품을 존경하며, 그의 의지를 따르며 극진한 내조로 집안을 화목하게 꾸려 남편으로 하여금 마음놓고 학문을 파고들어
명저를 저술하수 있게 하였으니 , 이 내외가 반듯한 인생을 완성한 것입니다.
고사성어(한자,사자성어) - 거자불추 내자불거 의미(뜻)와 유래 (0) | 2017.08.26 |
---|---|
고사성어(한자,사자성어) - 거이기양이체 의미(뜻)와 유래 (0) | 2017.08.18 |
고사성어(한자,사자성어) - 거안제미 의미(뜻)와 유래 (0) | 2017.08.12 |
고사성어(한자,사자성어)- 개문읍도 의미(뜻)와 유래 (0) | 2017.08.02 |
고사성어(한자,사자성어) - 개권유익 의미(뜻)와 유래 (0) | 2017.07.24 |
고사성어(한자,사자성어) - 개관사정 의미(뜻)와 유래 (0) | 2017.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