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군맹평상(群盲評象) ] ( 무리 군, 소경 맹 , 품평 평 , 코끼리 상 )
- 의미
여러 맹인이 코끼리를 평한다는 뜻으로 사물을 자신의 주관과 좋은 소견으로 그릇된 판단를 한다는 의미입니다.
군맹무상(群盲撫象) , 군맹모상(群盲摸象) 이라는 말과 같은 의미로 함께 쓰입니다.
- 유래
범인(凡人)은 모든 사물을 자기 주관대로 판단하거나 그 일부밖에 파악하지 못함을 비유한 말입니다.
《복송열반경(北宋涅般經)》〈사자후보살품(獅子吼菩薩品)〉편에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수록되어 있습니다.
어느 왕이 대신에게 말하기를 코끼리 한 마리를 끌고 와서 맹인에게 보여라 하였습니다.
맹인들이 작자 손으로 만져보았습니다.
왕이 맹인들을 불러모아 묻기를 그대들이 코끼리를 만져보고 무엇과 비슷한가? 하였더니....
상아를 만져본 사람은 코끼리의 모양이 무와 비슷하였고..
귀를 만져본 사람은 키와 같다고 하였고 ,
다리를 만져본 사람은 절구와 같다 하였고.
등을 만져본 사람은 침상과 같다 하였고.
배를 만져본 사람은 독과 같다 하였고.
꼬리를 만져본 사람은 새끼줄 같다고 하였습니다.
여기서 말하고 있는 코끼리는 부처님이고 중맹(衆盲)은 어리석은 중생(衆生)을 비유한것입니다.
어리석은 중생, 즉 선남(善男)들은 자신들이 만져 본 부위가 코끼리의 전체 모습을 다 본것처럼 말하고 있습니다.
부처님을 부분적으로 이해할수 있는 것 , 즉 각각 부처님이 따로 계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는 것입니다.
이 글에서 중맹(群盲)을 군맹과 같은 말로 , 우인(愚人) 또는 중우(衆愚) 라는 뜻입니다.
'군맹평상'이라는 말은 이야기에서 나온 말이며 , 같은 뜻의 군맹모상, 군맹무상이라는 말도 함께 쓰이고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사물을 볼때 작은 일부분으로 전체를 판단하는 오류를 범하는 태도에 대한 경고입니다.
고사성어(한자,사자성어) - 군자유삼계 원문, 의미(뜻)와 유래 (0) | 2018.03.21 |
---|---|
고사성어(한자,사자성어) - 군웅할거 의미(뜻)와 유래 (0) | 2018.03.19 |
고사성어(한자,사자성어) - 군맹평상 , 군맹모상 , 군맹무상 의미(뜻)와 유래 (0) | 2018.03.16 |
고사성어(한자,사자성어) - 군계일학 의미(뜻)와 유래 (0) | 2018.03.12 |
고사성어(한자,사자성어) - 국사무쌍 의미(뜻)와 유래 (0) | 2018.03.09 |
고사성어(한자,사자성어) - 구우일모 의미(뜻)와 유래 (0) | 2018.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