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권토중래(捲土重來) ] ( 거둘/말 권 , 흙 토 , 거듭 중 , 올 래(내) )
- 의미
흙을 말아올릴 정도의 기세로 다시 공격해 온다는 뜻으로
한번 실패한 사람이 다시 분기하여 세력을 되찾는다는 의미입니다.
또는 , 한번 전쟁에서 패했어도 힘을 다시 비축해 승리를 거머쥔다 ,
혹은 일이 한번 실패해도 다시 가다듬고 성공에 이른다는 의미로 쓰입니다.
- 유래
중국 당나라 후기의 시인 도목의 시 "제오강정(題烏江亭, 오강 정자에서 짓다)"에서 유래를 했습니다.
오강은 항우가 유방에게 패하여 최후를 맞이한 곳인데, 당초 두사람은 '홍구'를 경계로 천하를 나누기로 했었으나,
유방은 항우를 살려두면 후환이 되니 그를 습격해서 죽여야 한다는
장량과 진평의 진언에 따라 화의를 깨고 해하 전투에서 항우를 추격해 포위했습니다.
항우는 오강으로 도망쳤는데 이때 배를 끌고 온 오강의 정장이 '강동(강남)으로 돌아가서 재기하시져' 라고 권했으나,
항우는 "강동에서 함께 일어난 8천장정들이 모두 죽였는데 무슨 낯으로 강동으로 돌아가나" 라면서
유방의 포위망으로 뛰어들어 최후를 맞이했습니다.
그로부터 천여년이 지나 , 당나라 후기에 도목이 오강의 객사에 머무르다가
항우와 오강정장의 이야기를 떠올리고 지은 시가 바로 '제오강정'입니다.
勝敗兵家事不期(승패병가사불기): 이기고 지는 것은 병가지상사라 예측하기 어렵나니
包羞忍恥是男兒(포수인치시남아): 수치를 참고 견디는 것이 진정한 사내대장부라
江東子弟多才俊(강동자제다재준): 강동의 자제들 중에는 뛰어난 인물들이 많으니
捲土重來未可知(권토중래미가지): 흙먼지를 일으키며 다시 왔다면 결과는 알 수 없었으리
고사성어(한자,사자성어) - [극천하이굴신],[굴신제천하] 의미(뜻)와 유래 (0) | 2018.04.24 |
---|---|
고사성어(한자,사자성어) - 극기복례 의미(뜻)와 유래 (0) | 2018.04.20 |
고사성어(한자,사자성어) - 권토중래 의미(뜻)와 유래 (0) | 2018.04.17 |
고사성어(한자,사자성어) - 궁서설묘 의미(뜻)와 유래 (0) | 2018.04.14 |
고사성어(한자,사자성어) - 귀사물엄 궁구막추 의미(뜻)와 유래 (0) | 2018.04.02 |
고사성어(한자,사자성어) -군자유삼외 원문과 의미(뜻)와 유래 ,(논어 계씨편 8장) (0) | 2018.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