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극기복례(克己復禮) ] ( 이길 극 , 몸 기 , 돌아올 복 , 예도 예 )
- 의미
과도한 욕망을 누르고 예절을 따름. 자기를 극복해 예로 돌아가는 것을 말합니다.
- 유래
안연이 인에 대해 물었습니다.
공자가 말하기를 .......
" 나를 이기고 예로 돌아감이 인이된다. [顔淵問仁 子曰克己復禮爲仁(안연문인 자왈극기복례위인)].
하루라도 나를 이기고 예로 돌아감녀 천하가 인으로 돌아간다. [一日克己復禮 天下歸仁焉(일일극기복례 천하귀인언)].
인을 행함은 자기를 말미암은 것이니 다른 사람에게 말미암겠는가. [(爲仁由己 而由人乎哉:위인유기 이유인호재)]. "
안연이 그 조목(條目)을 여쭈었습니다.
공자가 말하기를....
" 예가 아닌 것은 보지 말고 예가 아닌것은 듣지 말고 예가 아닌 것은 말하지 말고 예가 아니면 행동하지 말라.
[子曰 非禮勿視 非禮勿聽 非禮勿言 非禮勿動(자왈 비례물시 비례물청 비례물언 비례물동)].”
여기에서 극기복례가 유래되었습니다.
출전 : 논어 (顔淵)
고사성어(한자,사자성어) - 근묵자흑 , 근주자적 의미(뜻)와 유래 (0) | 2018.04.27 |
---|---|
고사성어(한자,사자성어) - [극천하이굴신],[굴신제천하] 의미(뜻)와 유래 (0) | 2018.04.24 |
고사성어(한자,사자성어) - 권토중래 의미(뜻)와 유래 (0) | 2018.04.17 |
고사성어(한자,사자성어) - 궁서설묘 의미(뜻)와 유래 (0) | 2018.04.14 |
고사성어(한자,사자성어) - 귀사물엄 궁구막추 의미(뜻)와 유래 (0) | 2018.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