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 총정리/사자성어(고사성어) 2018. 1. 24. 19:34
[ 교주고슬(膠柱鼓瑟) ] ( 아교 교 , 기둥/버틸 주 , 북 고 , 큰 거문고 슬) - 의미 기둥을 풀로 붙여 놓고 거문고를 탄다는 뜻으로....어떤 규칙에 얽매여 변동 할줄 모르는 것 또는 고집불통을 비유하는 의미입니다. 1. 고지식하여 융통성이 전혀 없음을 이릅니다. 2. 규칙에 얽매여 변동할줄 모르는 사람을 이릅니다. 3. 정치적으로 부소 꼴통인 사람들을 비하는 고사성어입니다. 교슬(膠瑟) 이라고도 합니다. - 유래 조나라에서 이름을 날리던 명장 조사가 죽자 그간 조나라와 천하를 다투던 진나라가 침략했습니다.조나라는 염파장군으로 응전을 합니다. 하지만, 염파는 성만 고수할뿐 나오지 않으므로 진나라는 속수무책이었습니다. 결국 계책으로 유언비어를 퍼트리게 됩니다."염파는 진나라가 두려워 방어만 하니..
생활정보 2018. 1. 21. 18:44
[ 국가별/나라별 전압 ] 유럽 영국 230/240 아메리카 아르헨티나 220 오스트리아 230 칠레 그리스 페루 스위스 브라질 127/220 네덜란드 캐나다 120/240 노르웨이 미국 120 스웨덴 아시아 말레이시아 240 포루투칼 태국 220 프랑스 127/230 홍콩 200/220 독일 필리핀 120/230/240 러시아 127/220 인도 115/230/240 스페인 싱가포르 115/230 이탈리아 125/220 중국 120/220 아프리카 케냐 240 대만 나이지리아 230 한국 이집트 220 오세아니아 호주 240/250 에티오피아 뉴질랜드 230 남아프리카 220/230/250 피지 120/240 중앙아시아 이란 230 괌 터키 220 하와이 120 - 더 세부적인 국가별 전압및 플러그 형..
고사성어 총정리/사자성어(고사성어) 2018. 1. 21. 18:13
[ 교각살우(矯角殺牛) ] ( 바로잡을 교 , 뿔 각 , 죽일 살 , 소 우 ) - 의미 뿔을 고치려다 소를 죽인다는 말로 결점을 고치려다 지나쳐 일을 망치게 된다는 뜻입니다. - 유래 옛날 중국에는 종을 처음 만들때 뿔이 곧게 나 있고 잘 생긴 소의 피를 종에 바르고 제사를 지내는 풍습이 있었다고 합니다.이때 사용되는 소는 뿔이 곧아야 하는데 , 한 농부가 제사를 지내기 전에 사용할 소를 보니 뿔이 삐뚤어져 있었습니다. 그리하여 그 농부는 소의 뿔을 바로잡으려고 하였는데 그만 소를 죽이고 말았습니다.이로부터 "어떠한 작은 흠을 고치려다 일 전체를 망친다"라는 의미로 교각살우가 유래 되었습니다.
뉴스 , 이슈 2018. 1. 19. 19:50
[ 반려견 사고나면 주인 징역 살수도 ] - 목줄 착용 , 동물 등록 등 위반행위 신고포상제도 금년 3월 22일부터 시행을 합니다. 반려견에 대한 주인의 세심한 주의를 기우려야 할듯 합니다.반려견에 의한 사고가 자주 발생하면서.. 정부가 대책을 내놓았습니다. 반려견의 안전 관리 의무가 강화 됨에 따라... 사람이 다치거나 죽음에 이르는 사고가 발생할 경우..주인은 최대 3년의 징역형과 3000만원이하의 벌금 부과 받을수 있을것 같습니다...그리고, 맹견을 데리고 어린이집, 유치원,초등/특수학교등의 출입도 금지됩니다. 세부적으로 들여다 보면... 【맹견 범위】 - 현행) 도사견, 핏불 테리어, 스태퍼드셔 테리어, 스태퍼드셔 불 테리어, 로트와일러와 그 잡종 → (변경) 도사견, 핏불 테리어, 로트와일러, ..
고사성어 총정리/사자성어(고사성어) 2018. 1. 18. 19:08
[ 광일지구(曠日持久) ] ( 밝을 광 , 해 일 , 유지할 지 , 오랠 구 ) - 의미 헛된 날을 보내며 기회를 기다린다는 뜻. 오랫동안 견딘다는 뜻으로도 병해해서 쓰입니다. 오랜 세월을 헛되이 보낸다. - 유래 전국시대 조나라 명장 조사는 전지에서 나오는 세금을 관장하는 벼슬에 있으면서 조왕의 두터운 신임을 얻었습니다.그 후 수차례 전쟁에서 혁혁한 공을 세워 이름을 떨쳤습니다. 조혜문왕 29년(기원전 270년), 진나라가 한나라를 침공했을 때였습니다.두나라가 알여(산서성 화순)에서 치열한 접전을 벌이던 중 기선을 제압당한 한나라가 조나라에 급히 도움을 요쳥했습니다. 전쟁이 조나라 국경에 까지 미치자 위태로움을 느낀 조왕은 조사를 장군으로 봉하고 진나라에 대적하여 한나라를 구원하게 했습니다. 조사는 한..
컴퓨터,IT/PC,스마트정보 2018. 1. 15. 20:02
[ 구글 검색할때 새탭/ 새창으로 검색 결과(웹 사이트) 여는 방법 ] 각종 브라우저에서 구글 검색엔진을 이용해 검색을 할때 검색된 사이트을 볼때 새창으로 뜨지 않고 바로 넘어 갈때가 있는데....구글 검색사이트의 설정을 통해서 새창/새탭으로 여는 방법을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 구글 사이트로 진입을 합니다.. https://www.google.com - 검색어를 입력하고 검색을 하면 설정이 보일겁니다. - 설정을 클릭하여 ... 검색환경설정으로 진입을 합니다. - 검색결과 여는 창 항목에서 검색결과를 새 브라우저 창에서 열기항목을 체크하고 저장을 합니다. - 저장을 하면 검색결과가 브라우저 새창으로 열리는 것을 알수 있을겁니다..
고사성어 총정리/사자성어(고사성어) 2018. 1. 14. 19:49
[ 괄목상대(刮目相對) ] ( 깎을 괄 , 눈 목 , 서로 상, 기다릴 대 ) - 의미 눈을 비비고 다시 보며 상대를 대한다는 것으로 사람의 학식이나 재주 따위가 놀랍도록 향상됨을 비유한 말입니다. 현대 중국어에서는 待(기다릴 대) 대신에 看(볼 간)을 써서 刮目相看(괄목상간)이라고 합니다. 뜻은 같습니다. - 유래가 같은 고사성어 비부오하아몽(非復吳下阿蒙) : '오하아몽'이 아니란 말로, 장족의 발전을 한 사람을 뜻한다. 오하아몽은 아래에 설명이 있다. 수불석권(手不釋卷) : 손에서 책을 놓지 않을 정도로 열심히 공부하다. 손권의 훈계 내용 중 ‘광무제는 군무를 보면서도 손에서 책을 놓지 않았고, 조조 역시 늙어서도 배움이 좋다 하였소.’란 대목에서 나왔다. 오하아몽(吳下阿蒙) : 동오의 아몽. 아몽은..
고사성어 총정리/사자성어(고사성어) 2018. 1. 13. 18:18
[ 관포지교(管鮑之交) ] ( 대롱/주관할 관 ,절인 물고기 포 ,갈 지 ,사귈 교 ) - 의미 관중(管仲)과 포숙아(鮑叔牙)의사귐.매우 친한 친구사이의 사귐을 이르는 말입니다. 우정이 매우 깊은 사귐을 뜻합니다. 같은의미 사자성어로는 금단지교(金斷之交)가 있습니다. - 유래 중국 춘추 시대의 관중과 포숙아의 우정이 아주 돈독하였다는 고사에서 유래를 합니다. [ 史記 管仲傳 ] 사기 관중전. 관중과 포숙아는 어렸을 때부터 친구였습니다.처음에 둘이서 장사를 하여 이익을 나누었는데 관중이 언제나 많은 몫을 차지했습니다.그러나, 포숙아는 그를 탐욕스럽다고 여기지 않았습니다. 관중이 집안이 어려운 것을 알았기 때문입니다.관중이 포숙라를 위해서 일을 할때에 여러번 실패를 거듭했지만....포숙아는 그를 어리석다고 ..
고사성어 총정리/사자성어(고사성어) 2018. 1. 10. 18:30
[ 과유불급(過猶不及) ] ( 지나칠 과 , 오히려 유/같을 유 , 아닐 불 , 미칠 급 ) - 의미 지나친 것은 부족한 것과 같습니다. 무엇이든 한쪽에 지나치면 부작요이 크다는 것을 말합니다. 그리고, 지나친 욕심을 부리게 되면 애써 가지고 있었던 물건이나 명예를한번에 잃어버려서 한번에 망해 버리는 상황을 겪을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무엇이든 적절한것이 좋다는 ... - 유래 출전 -> 논어(論語)의 선진편(先進篇)중용(中庸)이나 조화(調和)를 가리키는 말로 논어의 선진편에 공자가 한말입니다. 자공(子貢)이 공자(孔子)에게 "자장(子張)과 자하(子夏) 중 , 누가 현명합니까? 하고 물은 적이 있습니다. 어느날 , 자장이 공자에게 "사(士)로서 어떻게 하면 달(達)이라 할수 있겠습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