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 총정리/사자성어(고사성어) 2018. 5. 22. 19:12
[ 금란지교(金蘭之交) ] ( 쇠금 , 난초 란 , 갈 지 , 사귈 교 ) - 의미 친구사이가 너무 가깝기 때문에 그 벗함이 쇠보다 굳을 뿐 아니라 그 향기 또한 난초같다는 말입니다.친구간의 깊은 우정을 뜻합니다. 같은 의미 고사로는 금란부(金蘭簿) 가 있습니다. 금란부(金蘭簿) 유래 : 친구의 주소나 성명을 기록한 장부로 대홍정(戴洪正)이라는 사람이 친구를 얻을때 마다 , 그것을 장부에 기록하고 향을 피우고 조상에게 고하여 금란부라 이름붙인 고사에서 유래를 합니다. - 유래 출전 -> '역경 계사상전 《易經》〈繫辭上傳〉' "사람들과 한가지로 하여 먼저는 울부짖고 뒤에는 웃는다"고 공자는 말씀하셨습니다. "군자의 도는 혹은 나가 벼슬하고 혹은 물러나 집에 있으면 혹은 침묵을 지키지만 혹은 크게 말한다.두..
고사성어 총정리/사자성어(고사성어) 2018. 5. 8. 18:20
[ 극구광음(隙駒光陰) ] ( 틈 극 , 망아지 구 , 빛 광 , 그늘 음 ) - 의미 마치 달려가는 말을 문틈으로 보는 것과 같이 세월의 흐름이 빠름을 비유한 말입니다. 인생과 세월이 덧없고 짧음을 비유한 말로 ..... 과극백구(過隙白駒), 백구과극(白駒過隙),극구광음(隙駒光陰), 극구(隙駒) 또는 극사(隙駟) 라고도 합니다. - 유래 장자莊子의 [지북유(知北游)]에 다음과 같이 이야기가 있습니다.공자가 노자에게 크고 넓은 지도에 대하여 묻자 , 노자는 이렇게 말을 시작합니다. " 그대는 먼저 재계하고 마음을 씻어내며 , 그대의 지식을 깨뜨려야 합니다.무릇 도라는 것은 깊고 멀어서 말로 표현하기 어려운 것입니다.박식하다는 것이 반드시 참된 앎은 아니며 , 능변이라는 것이 반드시 참된 지혜는 아닙니다...
고사성어 총정리/사자성어(고사성어) 2018. 5. 2. 20:28
유래는 없는 고사성어(한자,사자성어)입니다. [ 곤궁이통, 구화투신, 금구무결 의미(뜻) ] 곤궁이통(困窮而通) - ( 곤할 곤 , 다할 궁 , 말이을 이 , 통할 통 ) - 손 쓸 도리가 없는 지경에 이르게 되면 오히려 활로가 생기다는 의미입니다. 구화투신(救火投薪) - ( 구원할 구 , 불 화 , 던질 투 , 섶나무 신 ) - 불을 끄는 데 장작을 집어 넣는다는 뜻으로 근본을 다스리지 못하고 성급히 행동하다가 도리어 해를 크게 함을 비유하는 고사입니다. 금구무결(金甌無缺) - ( 쇠 금 , 사발 구 , 없을 무 , 이지러질 결 ) - 금으로 만든 단지처럼 완전하고 결점이 없음을 의미합니다.
고사성어 총정리/사자성어(고사성어) 2018. 4. 27. 19:46
[ 근묵자흑(近墨者黑) ] ( 가까울 근, 먹 묵 , 놈 자 , 검을 흑 ) - 의미 먹을 가까이 하면 자신도 모르게 검어진다. 비슷한 뜻의 속담은 "까마귀 노는 곳에 백로야 가지마라" 가 있습니다. 사람도 주위 환경에 따라 변할수 있다는 것을 비유한 사자성어입니다.훌륭한 스승을 만나면 스승의 행실을 보고 배움으로써 자연스럽게 스승을 닮게 되고 , 나쁜 무리와 어울리면 보고 듣 것이 언제나 그릇된 것뿐이어서 자신도 모르게 그릇된 방향으로 나아가게 된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근주자적(近朱者赤)도 같은뜻의 사자성어로 쓰입니다. - 유래 서진의 문신 부현이 편찬한 태자소부잠(太子少傅箴)에 등장한 구절입니다. 近朱者赤 近墨者黑 聲和則響淸 形正則影直 (근주자적 근묵자흑 성화즉향청 형정즉영직) "붉은 색을 가까이 하..
고사성어 총정리/사자성어(고사성어) 2018. 4. 24. 17:29
[ 굴신제천하(屈臣制天下) ] ( 굽을 굴 , 신하 신, 다스릴 제 , 하늘 천 , 아래 하 ) - 의미 신하에 굴하고 천하에 이긴다는 뜻으로 체면을 버리고 신하의 의견에 따름으로써 목적을 달성함을 말합니다. 같은 유래, 의미가 같은 고사: 克天下以屈臣(극천하이굴신) - 유래 [출전] 전국책(戰國策) 진책(秦策) 진나라와 조나라의 장평싸움ㅇ느 진나라의 승리로 끝을 맺었습니다.그로부터 1년후 진의 소왕은 다시 조나라를 공격하려고 했습니다.이때 그의 명장이었던 무안군 백기가 소왕에게 반대의견을 올렸습니다. "지금은 공격할 때가 아닙니다. 장평 싸움에서 우리 진나라는 큰 승리를 거두었지만. 죽은 자를 묻고 부상자를 보살피는 일로 재력을 전부 썻습니다.그러나, 조나라는 비록 이 싸움에서 패하여 죽은 자나 부상자..
고사성어 총정리/사자성어(고사성어) 2018. 4. 20. 19:21
[ 극기복례(克己復禮) ] ( 이길 극 , 몸 기 , 돌아올 복 , 예도 예 ) - 의미 과도한 욕망을 누르고 예절을 따름. 자기를 극복해 예로 돌아가는 것을 말합니다. - 유래 안연이 인에 대해 물었습니다.공자가 말하기를 ....... " 나를 이기고 예로 돌아감이 인이된다. [顔淵問仁 子曰克己復禮爲仁(안연문인 자왈극기복례위인)].하루라도 나를 이기고 예로 돌아감녀 천하가 인으로 돌아간다. [一日克己復禮 天下歸仁焉(일일극기복례 천하귀인언)].인을 행함은 자기를 말미암은 것이니 다른 사람에게 말미암겠는가. [(爲仁由己 而由人乎哉:위인유기 이유인호재)]. " 안연이 그 조목(條目)을 여쭈었습니다.공자가 말하기를.... " 예가 아닌 것은 보지 말고 예가 아닌것은 듣지 말고 예가 아닌 것은 말하지 말고 예가..
고사성어 총정리/사자성어(고사성어) 2018. 4. 17. 19:26
[ 권토중래(捲土重來) ] ( 거둘/말 권 , 흙 토 , 거듭 중 , 올 래(내) ) - 의미 흙을 말아올릴 정도의 기세로 다시 공격해 온다는 뜻으로 한번 실패한 사람이 다시 분기하여 세력을 되찾는다는 의미입니다. 또는 , 한번 전쟁에서 패했어도 힘을 다시 비축해 승리를 거머쥔다 , 혹은 일이 한번 실패해도 다시 가다듬고 성공에 이른다는 의미로 쓰입니다. - 유래 중국 당나라 후기의 시인 도목의 시 "제오강정(題烏江亭, 오강 정자에서 짓다)"에서 유래를 했습니다. 오강은 항우가 유방에게 패하여 최후를 맞이한 곳인데, 당초 두사람은 '홍구'를 경계로 천하를 나누기로 했었으나,유방은 항우를 살려두면 후환이 되니 그를 습격해서 죽여야 한다는 장량과 진평의 진언에 따라 화의를 깨고 해하 전투에서 항우를 추격해 ..
고사성어 총정리/사자성어(고사성어) 2018. 4. 14. 18:08
[ 궁서설묘(窮鼠설猫) ] ( 궁할 궁 , 쥐 서 , 깨물 설 , 고양이 묘 ) - 의미 쫓기는 쥐가 고양이가 문다는 뜻으로 궁지에 빠진 사람을 너무 괴롭히면 도리어 해를 입게 됨을 말합니다. - 유래 환관(桓寬)의 염철론(鹽鐵論)은 서한시대(西漢時代) 소금과 제철의 관할권을 놓고 공무원과 지식인들간에 벌어졌던 토론의 기록입니다.의견이 양분되어 조정을 대변한 어사대부(御史大夫) 상홍양(桑弘羊)은 현재의 국가 전매제도를 적극 찬성한 반면, 지식인들은 격렬히 반대하고 나섰습니다. 토론은 후에 국가 통치방법으로까지 비화되었습니다.상홍양을 비롯한 공무원들은 엄한 법을 통한 법치를 , 지식인들은 예치를 주장했습니다. 상홍양측이 역사적 사례를 들어 엄한 법이야말로 최고의 통치방법이라고 역설하자, 지식들은 진시황때를..
고사성어 총정리/사자성어(고사성어) 2018. 4. 2. 19:23
[ 귀사물엄 궁구막추 (歸師勿掩 窮寇莫追) ] ( 돌아갈 귀 , 군사 사 , 말 물 , 가릴 엄 , 다할 궁 , 도적 구 , 말 막, 쫓을 추 ) - 의미 물러나는 군사를 덮치지 말고 , 궁한 도적을 쫓지 말라는 뜻으로 .. 곤경에 빠져 있는 자를 건드리면 해를 입으니 건드리지 말라는 의미입니다. 동의어 --> 궁서설묘(窮鼠齧猫) - 유래 [ 출전 ] 삼국지 (三國誌) 위(魏)의 사마의(司馬懿)가 가정전투(街亭戰鬪)에서 촉(蜀)나라 마속(馬謖)의 군대를 물리핀뒤, 장합을 불러 말했습니다. "내가 생각히기에 위연. 왕평.마속.고상등의 무리는 반드시 먼저 양평관으로 갔을것이오.내가 만약 양평관을 치러 가면 제갈량이 반드시 우리 뒤를 칠것이니 , 이는 바로 그 계책에 빠지게 되는 것이오. 방법에 이르기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