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정보/가족호칭 2018. 4. 1. 18:27
[ 사돈과의 호칭 ] 호칭 특별칭과 관계 사돈 바깥사돈(아들과 며느리 양가 아버지의 호칭) 사부인 안사돈(아들과 며느리 양가 어머니의 호칭) 사장 사돈의 아버지에 대한 존칭 노사장 사돈의 아버지 또는 할아버지 노사부인 안사돈의 어머니 또는 할머니 사돈도령 사돈의 미혼 아들에 대한 호칭 사돈댁 색시 사돈의 미혼한 딸 , 사돈새아씨의 약칭 친가,자기 집안 호칭(특별호칭) ---> http://damoa-nawa.tistory.com/422 외가집 호칭(특별호칭) ---> http://damoa-nawa.tistory.com/416 처가집 호칭(특별호칭) ---> http://damoa-nawa.tistory.com/312 시집의 호칭(특별호칭) ---> http://damoa-nawa.tistory.com/..
생활정보/가족호칭 2018. 4. 1. 18:15
[ 이모집의 호칭 ] 호칭 특별호칭 관계 이모 이모(姨母) 어머니의 여자형제 이모부 이모부(姨母夫) , 이숙(姨叔) 이모의 남편 이종 이종사촌(姨從四寸) 이모의 아들 이종수 이종수(姨從嫂) 이종사촌의 부인 이종 이질 이질(姨姪) , 이질녀(姨姪女) 이종의 아들,딸 이질부 이질부(姨姪婦) 이질의 아내 친가,자기 집안 호칭(특별호칭) ---> http://damoa-nawa.tistory.com/422 외가집 호칭(특별호칭) ---> http://damoa-nawa.tistory.com/416 처가집 호칭(특별호칭) ---> http://damoa-nawa.tistory.com/312 시집의 호칭(특별호칭) ---> http://damoa-nawa.tistory.com/417 고모집의 호칭(특별호칭) ---..
생활정보/가족호칭 2018. 3. 25. 19:43
[ 고모집 호칭 ] 호칭 특별호칭 관계 고모 고모(姑母) 아버지의 여자형제 고모부 고모부(姑母夫) , 고숙(姑叔) 고모의 남편 당고모 당고모(堂姑母) 아버지의 사촌누이 재당고모 재당고모(再堂姑母) 아버지의 육촌누이 내종형제 내종사촌(內從四寸) 고모의 아들,딸 대고모 대고모(大姑母) , 왕고모 아버지의 고모 친가,자기 집안 호칭(특별호칭) ---> http://damoa-nawa.tistory.com/422 외가집 호칭(특별호칭) ---> http://damoa-nawa.tistory.com/416 처가집 호칭(특별호칭) ---> http://damoa-nawa.tistory.com/312 시집의 호칭(특별호칭) ---> http://damoa-nawa.tistory.com/417 고모집의 호칭(특별호칭)..
고사성어 총정리/사자성어(고사성어) 2018. 3. 24. 19:54
[ 군자유삼외(君子有三畏) 원문과 의미, 유래 ] - 원문 , 유래 논어 계씨편 8장. 군자유삼외(君子有三畏) 孔子曰(공자왈) 君子有三畏(군자유삼외)하니 畏天命(외천명) 하며 畏大人(외대인) 하며 畏聖人之言(외성인지언) 이니라... 小人(소인)은 不知天命而不畏也(부지천명이불외야)라 狎大人하며 侮聖人之言(압대인모성인지언)이니라 - 의미 공자가 말씀하시길... "군자에게는 세가지 두려워하는것이 있으니 , 천명(天命)을 두려워하고 , 대인(大人)을 두려워하고 , 성인(聖人)의 말씀을 두려워 한다 " "소인(小人)은 천명(天命)을 알지 못하여 두려워하지 않고 , 대인(大人)을 함부로 대하고, 성인(聖人)의 말씀을 업신여긴다"
생활정보/가족호칭 2018. 3. 24. 19:36
[ 시집의 호칭 ] 호칭 특별호칭 관계 시아버님 시부(媤父) , 시아버지 남편의 아버지 시어머니 시모(媤母) , 시어머니 남편의 어머니 시숙 시숙(媤叔) , 서방님 남편의 형 , 시아주버니 동세 동시(同媤) , 형님 남편의 형수 동서 동서(同胥) 남편형제의 아내 시동생 기혼: 서방님 , 미혼: 도련님 남편의 아우 시누이 시매(媤妹)기혼손위: 형님 , 손아래: 아우 , 미혼: 아가씨 남편의 남매 친가,자기 집안 호칭(특별호칭) ---> http://damoa-nawa.tistory.com/422 외가집 호칭(특별호칭) ---> http://damoa-nawa.tistory.com/416 처가집 호칭(특별호칭) ---> http://damoa-nawa.tistory.com/312 시집의 호칭(특별호칭) --..
생활정보/가족호칭 2018. 3. 23. 20:24
[ 외가집(외갓집,외가댁) 호칭 정리 ] 호칭 특별호칭 관계 외할아버지 외조부(外祖父) 어머니의 아버지 외할머니 외조모(外祖母) 어머니의 어머니 외숙 외숙(外叔),외삼촌(外三寸) 어머니의 남자형제 외숙모 외숙모(外叔母) 외삼촌의 부인 외사촌 외종(外從)형제 외삼촌의 아들,딸 외종수 외종수(外從嫂) 외삼촌의 며느리 외당질 외당질(外堂姪) 외사촌의 아들,딸 외당질부 외당질부 외사촌의 아들,딸 진외당숙 진외당숙(陳外堂叔) 아버지의 외사촌 친가,자기 집안 호칭(특별호칭) ---> http://damoa-nawa.tistory.com/422 외가집 호칭(특별호칭) ---> http://damoa-nawa.tistory.com/416 처가집 호칭(특별호칭) ---> http://damoa-nawa.tistory.c..
고사성어 총정리/사자성어(고사성어) 2018. 3. 21. 20:01
[ 군자유삼계(君子有三戒) 의미와 유래 ] - 원문,유래 孔子曰(공자왈) 君子有三戒 (군자유삼계) 하니 少之時(소지시)에는 血氣未完(혈기미정)이라 戒之在色(계지재색)이요. 及其壯也(급기장야)하야는 血氣方剛(혈기방강)이라 戒之在鬪(계지재투)요. 及其老也(급기노야) 血氣旣衰(혈기기쇠)라 戒之在得(계지재득)이니라...... - 의미 공자가 말하기를 군자는 경계할것이 세가지가 있으니.... 젊을 때는 혈기가 왕성해서 그 정도를 알수 없어 여색을 경계해야 하고.... 장년에 이르러 장성함에 따라 혈기가 또한 왕성하므로 싸움을 경계해야 하며... 늙어 감에 따라 혈기가 이미 쇠약해졌으므로 욕심을 내어 얻고자 하는 것을 경계해야 한다....
생활정보 2018. 3. 21. 19:38
[ 전자렌지 깨끗히 청소하는 방법 ] 1 . 전자렌지에 사용가능한 용기에 식초와 물을 1대1 같은 양으로 비율로 담아줍니다. 2 . 전자렌지에 넣고 물이 충분히 끓을때까지 돌려줍니다. (5분이면 적당하고 합니다.) 3 . 조금 지나면 렌지 내부에 수증기가 가득하게 차게 되는데 , 렌지 뚜껑 창이 뿌옇게 될때 까지 돌립니다. 4 . 조리가 완료되는 신호(삐삐삐)가 울려도 문을 열지 않고 한 10~20분정도 기다려줍니다. 5 . 10 ~20분후에 렌지 뚜껑을 열면 전자렌지 내부에 충분히 가열된 김이 서려있어 찌든때를 벗기기 쉬워집니다. 6 . 뜨거운 물에 짠 깨끗한 행주로 닦아 주면 깨끗히 청소할수 있습니다.
컴퓨터,IT/윈도우10 정보 2018. 3. 20. 19:49
[ 윈도우10 흑백모드로 사용하는 방법 ] 눈을 편안한 상태에서 사용하고 싶으신 분이나 컴퓨터의 중독성을 완화시키고 싶은 분들에게 추천드립니다.. Ctrl + 윈도우키 + C 키를 누르면 흑백모드로 전환이 됩니다. (단순하게 흑백으로 보이는 것이 아닌 윈도우 및 브라우저의 모든 색이 흑백모드로 변경이 됩니다.) - 단축키가 먹히지 않을때는 윈도우 설정(윈도우키 + i 키) -> 접근성 -> 색상및 고대비 -> 색상필터 적용 -> 필터선택(회색조) 선택하면 됩니다. https://pixabay.com (무료 이미지 사이트)를 방문해서 아래 이미지를 캡쳐한 것입니다.. - 본래의 상태 - Ctrl + 윈도우키 + C 키로 흑백모드로 바꾼 상태